안녕하세요
궁수의 전설 어빌리티의 '숨겨진 능력'과 '설명 부재'에 대한 부연 설명을 추가하겠습니다.
궁수의 전설은 어빌리티, 장비, 영웅이든 뭐든 설명이 아주 부족합니다. 1티어 최고의 어빌리티 멀티샷을 획득하면 '매번 화살 하나를 추가로 발사' 이게 설명 끝입니다. 공격 속도 -15%, 화살 피해량 -10% 감소에 대한 정보는 빠져있죠. 이런 건 유저들이 알아내는 건지 어디에 적혀있는 건지 모르겠으나 어빌리티의 숨겨진 능력을 확인하면 더 나은 어빌리티를 선택하여 더 효과적인 전투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개인적인 판단으로 설명이 필요한 어빌리티를 선택하여 부연설명을 더하여 작성하겠습니다. 제가 적는 글은 대부분의 유저들이 알고 있는 내용일 수 있으나 모르는 분들을 위해 작성하게 되었으며 조금이나마 게임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1. 펫 블레이즈 : 펫 공격이 적에게 적중할 경우, 펫의 공격력에 비례한 화염 대미지 2초 줍니다. 숨겨진 능력 : 영웅의 대미지 +10% 증가 펫의 속성 능력을 떠나 단순하게 영웅에게 주는 능력으로 비교해보면 펫 블레이즈는 영웅 대미지 10% 증가이고 공격 부스터(소)는 영웅 대미지 +15% 증가이므로 공격 부스터(소)가 더 좋습니다. 공격력 자체가 낮은 펫의 특성상 펫에게 속성을 넣어준다고 해도 펫의 공격력에 비례한 대미지로 형편없는 수준이지만 영웅 대미지 +10%의 숨겨진 능력으로 '다른 대안이 없을 때' 선택하면 그나마 낫습니다. 개인적으로 저는 체력이 없는 경우가 아니라면 최대 체력을 20% 증가시켜주고 체력 회복 효과도 있는 HP부스트보다 펫 블레이즈를 더 선호합니다.
2. 펫 프리즈 : 적에게 적중할 경우, 적을 2초 동안 빙결, 숨겨진 능력 : 크리티컬 대미지 20% 증가, 영웅의 빙결 효과와 쿨타임 공유. 펫의 속성 능력을 떠나 단순 영웅에게 주는 능력과 비교해보면 펫 프리즈는 크리티컬 대미지 +20% 올려주고 크리티컬 마스터(소)는 크리티컬 대미지 +20%과 크리티컬 확률 +5% 이므로 크리티컬 마스터(소)가 더 좋지만 펫 프리즈의 빙결 능력을 생각한다면 크리티컬 마스터(소) 보다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펫 속성 어빌리티중에 가장 효과적이며 장애물에 구애받지 않는 박쥐 펫 사용 시 시너지가 상당히 좋습니다.
3. 펫 포이즌 : 적에게 적중할 경우, 펫의 공격력에 비례한 독 대미지를 몬스터가 죽을 때까지 줍니다. 숨겨진 능력 : 영웅의 크리티컬 대미지+20% 증가. 펫의 속성 능력을 떠나 단순 영웅에게 주는 능력과 비교해보면 펫 포이즌은 크리티컬 대미지 +20% 올려주고 크리티컬 마스터(소)는 크리티컬 대미지 +20%과 크리티컬 확률 +5% 이므로 크리티컬 마스터(소)가 더 좋습니다. 독 대미지는 몬스터가 죽을 때까지 대미지를 주지만 대미지가 너무 약하므로 역시 다른 대안이 없을 때 선택하여 크리티컬 대미지 +20% 얻는 게 좋겠습니다.
4. 펫 볼트 : 적에게 적중할 경우, 펫의 공격력에 비례한 번개 연쇄 대미지. 숨겨진 능력 : 영웅의 크리티컬 확률 5% 증가, 영웅의 라이트닝 체인과 중첩. 펫의 속성 능력을 떠나 숨겨진 옵션이 크리티컬 확률 +5%이며 라이트닝 영웅의 라이트닝 체인과 중첩이 됩니다. 물론 크리티컬 마스터(소)와 선택의 기로에 놓여있다면 저는 크리티컬 마스터(소)를 선택할 것 같아요.
5. 거대화, 난쟁이 : 거대화는 단순하게 공격력이 증가한다고 나와있지만 대미지 +40% 증가이며, 난쟁이는 단순하게 크리티컬 확률이 증가한다고 나와있지만 크리티컬 확률 +10% 증가입니다. 두 어빌리티를 모두 획득할 경우 크기는 그대로이지만 두 가지 효과는 모두 얻을 수 있으며 거대화는 크기가 커지는 단점이 있지만 공격 부스트보다( +30% 대미지 증가) 효과가 좋으며 난쟁이는 크기가 작아지는 장점이 존재하지만 크리티컬 확률 +10%로 크리티컬 마스터보다 낮은 효율을 보입니다. 거대화는 발사체를 피하기 어렵기 때문에 거대화와 난쟁이 중에 난쟁이가 더 좋아보입니다.
6, 장애물 통과, 워터 워커 : 보스전에서 한 대도 맞지 않는 경우 악마와의 거래를 통해 '장애물 통과'와 '워터 워커 어빌리티를 얻을 수 있는데 장애물 통과는 가시 바닥이나 움직이는 트랩에 대미지를 입지 않습니다. 이 어빌리티를 선택하면 HP만 뺏기는 기분이었지만 대미지 +15% 증가 패치 이후 조금 나아졌으며 어빌리티 능력을 잘 잘 활용한다면 더할 나위 없이 좋겠지만 '체력' vs '대미지 +15%' 중 어떤 것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느냐에 따라 선택이 달라지겠네요. +15%의 대미지 증가량은 공격 부스터(소)와 동일합니다.
7. 회피 마스터, 유연 : 회피 마스터는 20% 회피 확률 증가, 유연은 체력이 낮을수록 회피 확률이 증가하는데 유연은 잃은 HP 1% 당 0.3%의 회피 확률이 올라갑니다. 만약 HP 10% 일 때 27%의 회피 확률로 상당히 높기 때문에 헬릭스를 사용하거나 분노 어빌리티를 잘 활용하는 경우 유연이 더 효과적이지만 체력 상관없이 안정적인 회피 확률을 보여주는 회피 마스터가 인기가 많습니다.
8. 피의 갈증 : 몬스터 처치 시 1.5%의 체력 회복. HP가 10,000 가정했을 때 1마리 처치 시 HP +150 회복. 많은 몬스터가 등장하는 챕터에서 효과적입니다.
9. 헤드샷 : 헤드샷은 적을 12.5% 확률로 적을 즉사시킵니다. 타격 시마다 즉사 확률이 존재하는 게 아닌 Full HP 몬스터에게만 적용되므로 '첫 타격 시'만 해당됩니다. 12.5% 확률은 낮은 편이지만 몬스터가 한방에 죽는 모습을 자주 보여주고 어빌리티 반동(리코셰)나 펫이 공격하는 것도 해당이 되며 당연히 보스에게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물론 보스 몬스터가 소환한 몬스터에게는 적용됨)
10. 크리티컬 오오라, 공격 속도 오오라 : 크리티컬 오오라는 2초 동안 지속되며 크리티컬 확률을 47.5% 증가합니다. 재사용시간은 8초, 공격 속도 오오라도 2초 동안 지속되며 공격 속도는 62.5% 증가합니다. 나무 위키 재사용시간은 9초라고 나와있지만 크리티컬 오오라와 동일하게 8초가 맞는 것 같은 느낌.
11. 무적 : 10초 주기로 2초 동안 무적이 지속되며 지속시간이 짧은 단점이 있습니다.
12. 분노 : 체력이 낮아질수록 대미지가 증가하며 잃은 HP 1%당 대미지가 1.2% 증가합니다. 헬릭스는 선택할 수 없으며 헬릭스의 분노 어빌리티가 약간 더 좋습니다. HP가 10% 남은 경우 대미지 무려 대미지 108% 증가입니다.
13. 빠른 성장 : 30% 추가 경험치를 주지만 쓸모없습니다.
14. 격노 : HP가 낮을수록 공격 속도 증가, 잃은 HP 1%당 0.4% 공격 속도 증가. 영웅의 HP가 10%라고 가정하면 36%의 공격 속도가 증가합니다. 상시 적용되는 공격 속도 부스터(25% 공격 속도 증가)와 비교하면 부족해 보이는 느낌.
15. HP 플러스, 공격력 플러스, 치명타 플러스, 공격 속도 플러스
HP플러스 : 첫 어빌리티 선택창에서 선택할 수 있는 어빌리티로 스테이지에서 몬스터에게 한 대도 맞지 않고 클리어 시 HP가 증가하는데 영구적으로 2.5% 체력이 증가합니다. HP 10,000이라고 가정했을 때 HP +250씩 최대 16번 효과를 받을 수 있죠. 총 40.5%, HP 14,050이며 상승효과는 엄청나지만 공격형 어빌리티에 외면받고 있습니다. 회피 발동 시 HP 피해가 없으므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피해 후 회복은 몬스터에게 피해 입은 것으로 간주됩니다. 공격력 플러스도 HP 플러스와 동일하게 2.5%의 대미지 증가이며 최대 16번의 효과를 받을 수 있습니다 총 40.5% 공격력 3,000이라고 가정할 때 4,215 , 해외정보에 따르면 치명타 플러스는 1.42% 크리티컬 증가로 최대 18번 25.6%의 크리티컬 확률이 증가하며, 공격 속도 플러스는 1.87% 18번 33.7%라고 하는데 정확하진 않지만 참고 정도 하면 좋겠고 난이도가 어려운 보스 챕터에서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50스테이지까지 있는 챕터에서 쓰면 쓸만해 보이는 어빌리티입니다. 결국 멀티샷이 없을 때 선택하는 어빌리티이지만...
해외사이트 티어 등급표로 마무리합니다. 제 생각과는 조금 다르지만 제 생각이 모든 사람의 기준은 아니기 때문에 해외 사이트 티어 등급표로 대체하여 첨부합니다^^
'게임 정보 > 궁수의 전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궁수의 전설 '스펠북' 분석 /계몽/얼음 영역/신비로운 궁수/전투술/ (7) | 2020.05.09 |
---|---|
궁수의 전설 렉 최소화 하는 방법 (0) | 2020.05.08 |
궁수의 전설 영웅 쉐이드 분석 (0) | 2020.05.05 |
빗발치는 탄환 장비 5개 획득하는 방법 (0) | 2020.05.04 |
궁수의전설 해외사이트 티어 등급표 (0) | 2020.05.01 |